Design/03. Product Designer Tip 8

비즈니스 모델과 도메인: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위한 가이드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서 회사에 지원할 때,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과 도메인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각각의 도메인과 모델이 요구하는 디자인 방식과 사용자 경험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도메인을 정리하고,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알아보겠다. 1. 비즈니스 모델이란?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SaaS, B2B, B2C 같은 모델이 있으며, 각 모델마다 UX/UI 디자인의 초점이 달라진다.(1) SaaS (Software as a Service)설명: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예시: Figma, Notion, Slack, Adobe Creative Cloud, Zoom특징:사용자가 별도 ..

[UX] UX 법칙들 정리 사이트 공유

디자인 작업을 하다 보면, 우리는 종종 “어떻게 하면 사용자 경험을 더 직관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게 된다. 이럴 때 참고할 수 있는 것이 바로 “Laws of UX”다.이 사이트내에 UX 디자인을 위해 알아두면 유용한 심리학적 원칙과 법칙들을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있다.https://lawsofux.com/info/ Info | Laws of UXLaws of UX is a collection of best practices that designers can consider when building user interfaces.lawsofux.com Laws of UX란 무엇인가? Laws of UX는 UX 디자이너가 사용자 경험 설계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학적 원칙과 가이..

[UX] UX 심리학 브런치북 공유

UX 심리학, 효과들에 대해 짧고 핵심만 담아 설명해놓은 브런치북이 있어 공유한다.https://brunch.co.kr/brunchbook/lightux [브런치북] 가벼운 UX심리학 1자칫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UX 심리학을 쉽고 가볍게 소개합니다. 일상 속 숨어있는 UX 심리학의 재미를 느껴보세요.brunch.co.kr https://brunch.co.kr/brunchbook/lightux2 [브런치북] 가벼운 UX심리학 2자칫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UX 심리학을 쉽고 가볍게 소개합니다. 일상 속 숨어있는 UX 심리학의 재미를 느껴보세요.brunch.co.kr

[Figma] App/ Web Design System Library 파일 링크 모음

디자인 시스템은 일관성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디자인 및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다. 국내외 기업들은 자사의 브랜드 정체성과 사용자 니즈를 반영한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이를 통해 최적의 UI/UX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Figma와 같은 도구는 이러한 디자인 시스템을 활용하기 쉽게 만들어, 디자이너와 개발자 모두에게 필수적인 협업 도구로 자리 잡았다.이 글에서는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Design System Library 링크를 정리했다. 각 라이브러리는 Figma 커뮤니티 또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일부는 무료로 다운로드하거나 복제하여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 자료들은 상업적 사용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개인 학습 및 프로젝트에만 활용하길 권장한다. 저작권과 관련..

[Figma] 컴포넌트(Component) 기본 개념 & 활용 & 규칙 정리

컴포넌트 기능이 헷갈리고, 계층 구조가 대체 어떻게 이뤄져있는 것인지.인스턴스와 메인 컴포넌트의 차이는 무엇인지.각각 어떤 규칙이 있는지. 잘 모르겠고 헷갈린다면 1시간만 투자하여 아래 4개의 영상을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강의 자료: https://www.figma.com/community/file/1247731639755656792 https://www.youtube.com/watch?v=UBlFnSNXufEhttps://www.youtube.com/watch?v=6sJqDM_KOfohttps://www.youtube.com/watch?v=8IgztlsOpaQhttps://www.youtube.com/watch?v=PW7nV3L8vCg&t=676s

[Figma] 베리어블(Variable) 기본 정리

1. 베리어블의 역할:- 반복 작업을 줄이고 디자인 요소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크 모드와 라이트 모드 같은 테마 전환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2. 베리어블의 유형:- 컬러: 색상을 변수로 정의하여 테마 전환이 가능하다.- 넘버: 간격, 크기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숫자 변수를 제공한다.- 텍스트: 문자열을 변수로 정의하여 텍스트를 일괄 수정할 수 있다.- 불린: 켜기/끄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변수다.3. 활용 사례:- 다크/라이트 모드 구현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반응형 디자인을 설계하며 UI 요소의 크기와 간격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4. 사용 방법 - 베리어블 생성하기:피그마 상단 메뉴에서 "Variables" 패널을 열거나, 오른쪽 패널에서 "Create Variable" 버..

[figma] 디자인 시스템 네이밍 규칙, 이렇게 하면 정리 끝!

디자인 시스템이 커질수록 컴포넌트와 스타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이런 상황에서 일관된 네이밍 규칙을 사용하면 디자인 시스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훨씬 좋아진다. 이 글에서는 디자인 시스템에서 Core 요소, 컴포넌트, 템플릿을 효율적으로 네이밍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피그마피디아 참고1. 디자인 시스템 요소와 네이밍 규칙1.1 Core 요소 (기본 요소)Core 요소는 디자인 시스템의 기본적인 단위로, 색상, 타이포그래피, 아이콘, 애니메이션 등이 포함된다. 이 요소들은 재사용성과 명확성을 높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 컬러(Color) • 구조: Color / Hue / Tone • Hue(색상): Primary, Secondary, Tertiary 또는 색 이름(..

[뉴스레터] 2024년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위한 구독형 뉴스레터 추천

프로덕트 디자인에서 성장하려면 최신 트렌드와 실무 인사이트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도 수많은 뉴스레터들이 끊임없이 생산되고 있지만, 모두가 메일함에 오래 남는 건 아니다. 열 개 넘게 구독해본 결과, 지금도 꾸준히 읽고 있는 단 7개의 뉴스레터만이 메일함에 남았다.아래는 내가 애정하는 뉴스레터들을 종류, 내용, 특징, 그리고 구독 방법까지 정리한 리스트다.각자의 선호도와 목적에 따라 느끼는 점이 달라질 수 있으니, 이 리스트를 참고해 “프로덕트 디자이너 뉴스레터”로 직접 찾아보는 것도 추천한다. 더 좋은 정보가 당신을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  1. Surfit • 종류: 디자인 실무 및 트렌드 뉴스레터 • 내용: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위한 포트폴리오 작성 가이드, 최신 디자인..

728x90